한국 축구의 원톱 스트라이커 기근 현상
한국 축구는 예로부터 확실한 원톱 카드가 있었다. 아시아의 호랑이가 될 수 있었던 이유도, 확실한 한 방을 갖춘 선수가 늘 최전방에 위치했기 때문이다. 이회택(1970년대) - 최순호(1980년대) - 황선홍(1990년대) - 이동국(2000년대) - 박주영(2010년대) 윙어와 스트라이커에서 독보적인 수준(차범근, 손흥민 등)을 보여준 선수들도 있고, 중간에 뛰어났던 선수(김주성, 최용수, 안정환 등)도 들어가야 한다는 등 여러 관점이 있을 수 있겠으나, 위의 언급한 선수들은 큰 틀에서 지난 40여년간 한국 축구의 확실한 원톱 자원이었다.그러나 최근에는 공격에 확실한 방점을 찍어줄 스트라이커가 상당히 부족하다. 손흥민을 위시한 2선 자원은 역대급 선수들로 즐비하지만, 최전방 스트라이커의 중량감은 떨어..
축구이야기/필자 생각 전하기
2025. 3. 21. 11:17